用事란 경서(經書)나 사서(史書) 또는 여러 사람의 詩文에서 특징적인 관념이나 사적(事迹)을 2, 3개의 어휘에 집약시켜 시의(詩意)를 배가시키는 방법이다.
중국에서는 송대(宋代)의 시풍이 산문의 흥기와 성리학의 발달로 인하여 시의 기세(氣勢)를 중히 여기고 도(道)를 위주로 하게 되면서, 원래 문장 수사법의 하나로 이용되었던 용사가 크게 성행하게 되었다
송대시학(宋代詩學)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고려나 조선에 있어서도 보편화되어 용사를 모르고서는 시를 지을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시작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시의 성률(聲律)이나 의취(意趣)에 있어 독창적인 경지를 구축하기가 중국인에 비하여 어려웠기 때문에, 자연히 선대 시인들이 이룩한 유형의 모방과 습용(襲用 : 그 전대로 눌러 씀.)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시 특히 근체시의 오언·칠언의 엄격한 정형을 살리면서 의취를 압축 표현하고 강조할 때에 부분적 시구의 인용이나 전고의 원용이 가장 접근하기 쉬운 수사 방법이다. 그리하여 천연스러운 전고의 인용은 오히려 시의 의취를 풍부하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경전이나 사서의 인용과는 다르게, 시문의 인용은 잘못하면 표절과 답습에 기울기 쉬운 것이다
고려의 최자(崔滋)는 “근세에 동파(東坡)를 숭상하는 사람은 대개 그 기운(氣韻)이 호매(豪邁 :지혜와 용기가 비범함.)하고 뜻이 깊고 말이 풍부하며, 고사를 인용함이 두루하여 그 문체를 거의 본받을 수 있음을 사랑한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후진들은 ≪동파집≫을 읽으면서 본받아서 그의 풍격(風格 ; 고상하고 아름다운 면모나 모습)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다만 증거하여 이것으로 고사를 인용하는 도구로 삼으려 한다.”(補閑集 보한집)라고 하였다. 용사에 치우친 나머지 답습 내지는 모방을 일삼는 풍조를 비난하였다
이규보(李奎報)는 고인의 이름을 많이 인용한 것을 ‘재귀영거체(載鬼盈車體 : 귀신을 실어 수레에 가득 찬 듯한 문체)’라 하였고, 용사의 기교가 부족한 것을 ‘졸도이금체(拙盜易擒體 : 서툰 도적이 쉬 사로잡히는 듯한 문체)’라 하여 꺼렸다. 이인로(李仁老)는 용사를 많이 한 것을 ‘점귀부(點鬼簿 ;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라 하여 작시의 병폐로 보았다
조선에 들어오면서 용사의 풍조는 크게 번창하였다. 서거정(徐居正)은 용사가 정절(精切 : 자세하고 적절함.)한 시를 종종 선평하였다. 용사의 한 방법으로 번안법(翻案法 : 원작의 내용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따위를 시대나 풍토에 맞게 바꾸어 고치는 법)을 소개하고 용사 내지는 도습(옛 정책, 수법, 방식 따위를 그대로 본받아 좇음)을 어느 정도 당연시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은 용사에 대한 옹호가 적극적이었다. “두보의 시가 전고(전례(典例)와 고사(故事))를 쓰되 흔적을 남기지 않아서, 자작인 듯하지만 자세히 보면 모두 출처가 있다. 이것이 그로 하여금 시성(詩聖)이라는 칭호를 얻게 한 까닭”이라고 하였다. 또한, 시를 쓰면서 전혀 용사를 하지 않고 음풍영월(자연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이나 하고 바둑이나 술을 노래하면서 겨우 운자나 다는 것은 시골의 고루한 훈장들이나 하는 것이라 하였다
정약용은 “이로부터 시를 지을 때에는 반드시 용사를 위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 사람들은 걸핏하면 중국의 고사만을 사용한다. 이 또한 비루한 성품 때문이다. 마땅히 ≪삼국사기≫·≪고려사≫·≪국조보감≫·≪동국여지승람≫·≪징비록 懲毖錄≫·≪연려실기술≫ 및 기타의 우리 나라 문헌들에서 그 사실을 취하고 그 지방을 고증하여 시에 쓰도록 하여야만 세상에 이름을 남기며 후세에 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여유당전서 與猶堂全書≫ 제1집 제21권 ‘기연아(寄淵兒)’라는 글에서 용사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용사의 대상을 중국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우리 나라의 고전에서 찾아 써야 한다고 말하였다
용사의 내용으로는 고인명(古人名)· 관명(官名)· 고인어(古人語)· 고인사(古人事) 등 다양하다. 특히 서거정은 용사를 직용(直用)과 반용(反用)으로 나누고, 직용은 쉽지만 뜻을 뒤집어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였다. 최자도 용사를 함에 재치가 있지 않으면 뜻이 제대로 살아나지 못하고 말이 생소해진다고 하였다. 마치 물에 소금이 녹아 있듯이 흔적이 없어야(無斧鑿之痕 무부착지흔) 하며, 전고가 완전히 작품 속에 용해되어 작품상에서 조화미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용사를 한 시보다는 용사를 하지 않은 시를 우위에 두고 있다. 그러므로 용사를 작시법의 하나로 인정하였으나 이를 될 수 있는 한 피하였다.
[Daum백과] 용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시의 用事
[1. 이곤의 부벽루시와 용사]
다음은 『동인시화』에 실려 있는 李混의 「浮碧樓」란 작품이다.
永明寺中僧不見 | 영명사 가운데 스님은 뵈지 않고 |
永明寺前江自流 | 영명사 앞에는 강만 홀로 흐르네. |
山空孤塔立庭際 | 산은 비고 외론 탑만 뜨락 가에 서있는데 |
人斷小舟橫渡頭 | 인적 끊겨 작은 배는 나루가에 걸려 있네. |
長天去鳥欲何向 | 저 하늘가는 새는 어디메로 가는 걸까 |
大野東風吹不休 | 넓은 들엔 봄바람만 쉴 새 없이 불어오네. |
往事微茫問無處 | 지난 일들 아득해라 물을 곳 바이 없고 |
淡烟斜日使人愁 | 저물녘 엷은 안개만 사람 근심 자아낸다. |
영명사는 대동강 모란봉 기슭에 자리 잡은 절이다. 한 때 번화했던 절엔 스님네의 자취도 끊어지고, 무심한 강물만 그 앞을 예전처럼 흘러가고 있다. 산이 비었다 했으니 아직 헐벗은 겨울산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겠고, 뜰 모퉁이의 쓸쓸한 탑의 모습은 시인의 외로움을 부추겼다. 대동강을 바라보아도 사람의 자취는 찾을 길 없고, 나룻배도 쓸모없어 휑하니 가로 걸려 있다. 고개를 돌려 하늘을 보면 봄을 맞아 다시 북으로 날아가는 철새들이 눈에 보이고, 바람은 자옥한 먼지를 일으키며 시야를 흐린다. 저물녘 부벽루에 올라 그 광경을 지켜보던 시인은 무상하고 덧없는 인간사가 하릴없어 강 위 안개처럼 자옥히 솟아오르는 근심을 누를 길이 없었다.
이 시의 용사처를 일일이 꼽아보면
1.2구는 李白의 「鳳凰臺」 시 가운데에서 따왔다.
鳳凰臺上鳳凰遊 | 봉황대 위에 봉황이 노닐더니, |
鳳去臺空江自流 | 봉황은 가고 대만 남아 강만 홀로 흐르네. |
4구는 韋應物의 시에서 가져왔다.
野頭無人舟自橫 | 들머리엔 사람 없고 배만 가로 걸렸네. |
5.6구는 陳師道의
“날아가는 새는 어드메로 가는게오.
달려가는 구름 또한 홀로 한가롭도다.
奔雲亦自閑”
을 부연하였다.
|
또 7.8구는 崔灝의 「黃鶴樓」 시에서 따왔다.
日暮鄕關何處是 | 저물 녘 고향땅은 그 어디메뇨, |
烟波江上使人愁 | 저 강 위 내 낀 물결만 근심 자아내누나. |
그러고 보면 이혼의 위 작품은 한 구절도 유래 없는 곳이 없다. 심하게 말하면 고금 명시의 좋은 구절들을 짜깁기하여 적절히 한 문맥 속에 재조립한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보았듯 시 자체만으로 보아서는 짜깁기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고, 그 자체가 완결된 하나의 새로운 시적 문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옛 사람이 흔히 말하는 換骨奪胎니 點鐵成金이니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한시 표현 상 운용의 묘를 극대화시킴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天衣無縫이란 말이 있다. 선녀들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취가 없다고 했던가. 妙合無垠이란 말이 있다. 서로 다른 것을 한 데 합쳤는데도 합쳐진 가장자리를 찾을 수가 없다. 이렇듯이 한편의 시는 절묘한 용사를 통해서 이룩되기도 한다. 이러한 용사는 學詩 과정에서의 수많은 시의 암송과 차운, 집구에 의한 습작 등의 과정에서 자연스레 체득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前人의 시구를 가지고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하자.
예를 들어 도연명의 시 중 「四時」라는 시가 있으니 다음과 같다.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 봄물은 사방 못에 넘실거리고 여름 구름 기이한 봉우리 모양을 짓네. |
이 가운데 實辭는 ‘水’와 ‘澤’, ‘雲’과 ‘峰’이고, 그 나머지 글자는 모두 虛辭이다.
만일 시인이 이 시구로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내려 할 때,
허사를 그대로 두고 실사만을 바꾼다면 이런 시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春>은 <봄>이라는 <명사名詞>이지만, 여기서는 <水>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봄의>라는 뜻, <夏>도 마찬가지.따라서 허사(허자)임
春陰滿四野 夏樹多奇花 | 봄 그늘 사방 들에 가득 차 있고 여름 나무엔 기이한 꽃 많이 피었네. |
또 다음과 같이 실사는 그대로 두고 허사만을 바꿀 수도 있다.
流水歸成澤 晴雲逗作峰 | 흐르는 물 모여서 못을 이루고 개인 구름 머물며 봉우릴 짓네. |
이렇게 보면 도연명의 시에서 새롭게 조합해 낸 두 시는 전혀 새로운 경계와 분위기를 가진 다른 작품이 된다.
이것은 분명히 표절과는 구분된다. 李瀷이 『성호사설』에서 말한 내용이다.
衆鳥高飛盡 孤雲獨去閑 | 뭇 새들 높이 날아 사라진 자리 외론 구름 호올로 한가로이 떠가네. |
이백의 「獨坐敬亭山」의 1.2구이다. 이를 김부식은 그의 「題松都甘露寺」에서 다음과 같이 바꾸었다.
白鳥高飛盡 孤帆獨去輕 | 흰 새 높이 날아 사라져가고 외론 돛만 홀로 가벼히 떠나네. |
첫 구가 허사만을 교체했다면, 둘째 구는 실사와 허사를 함께 바꿈으로써 분위기의 변화를 가져왔다.
대개 이러한 예는 이루 예거할 수 없을 만큼 많다.
원작의 분위기를 계승시키다
이색의 「浮碧樓」시의 1.2구는 다음과 같다.
昨過永明寺 暫登浮碧樓 | 어제 영명사를 지나가다가, 잠시 부벽루에 올라 보았네. |
시를 배운 사람은 이 구절을 읽는 즉시 이것이 두보의 「登岳陽樓」의 1.2구에서 가져온 것임을 금세 알아차릴 수 있다.
昔聞洞庭水 今登岳陽樓 | 예전부터 동정호의 물을 들어왔는데, 이제야 악양루에 올라 보았네. |
이러한 인지는 한시의 독자에게는 친밀과 신뢰의 감정을 일으키는 동시에,
용사를 통해 원작의 분위기를 그대로 작품 속에 전이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같은 시의 5구 ‘麟馬去不返’도 최호의 「黃鶴樓」시의 3구 ‘黃鶴一去不復返’에서 허사인 ‘一’과 ‘復’를 뺌으로써 이루어졌다.
다른 표현 같은 분위기
그런가 하면 원작의 분위기를 살리면서 표현은 달리 하는 경우도 있다.
崔惟淸의 「雜興」 7.8구는 다음과 같다.
依檻欲歎息 靜然已忘機 | 난간에 기대어 탄식을 하려다가, 고요히 이미 기심을 잊었다오. |
이는 도연명의 「飮酒」시 제 5수의 7.8구를 환골탈태한 것이다.
此中有眞意 欲辨已忘言 | 이 가운데 참된 뜻이 있어서, 분별을 하려하나 이미 말을 잊었네. |
다음은 姜希孟의 「臨風樓」란 시의 일련이다.
紫燕交飛風拂柳 | 제비가 짝져 날아 버들가지 날리는데 |
靑蛙亂叫雨昏山 | 청개구리 개굴개굴 비 기운에 어둑한 산. |
金瑬는 「客中」시에서 이를 변용시켜 다음의 일련을 얻었다.
遙山帶雨池蛙亂 | 먼 산 비 기운 띠자 연못 개구리 어지럽고 |
高柳含風海燕斜 | 버드나무 바람 머금어 제비는 비스듬 나네. |
한시는 7언의 경우 넉 자 석 자, 5언의 경우 두 자 세 자로 끊어 읽는다. 또 각구는 허사와 실사로 이루어진다.
‘紫燕’과 ‘靑蛙’에서 ‘紫’와 ‘靑’이 허사라면, ‘燕’과 ‘蛙’는 실사이다. 자! 이제 두 구절을 비교해 보자.
앞 시의 실사는 ‘燕·風·柳·蛙·雨·山’의 여섯 글자다. 이 여섯 글자를 표시해 두고, 뒤의 시에서 어떤 위치로 옮겨 가 있는지 살펴보자.
김류의 시는 강희맹의 시와 비교하여 볼 때 우선 아래 위가 바뀌었고, 앞뒤의 순서도 바뀌었으며,
다만 허사를 교체한 것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두 시의 의경을 비교해 보자. 둘 다 봄날 비 올 무렵의 경물을 묘사하고 있다.
강희맹의 시를 보면, 제비가 짝져 날아 그 활발한 날갯짓이 바람을 일으켜 버들가지를 하늘거리게 하고,
청개구리가 개굴개굴 울어대자 마치 응답이라도 하듯 먼 데 산이 빗기운에 어둑해지더라고 했다.
봄날의 약동하는 흥취가 제비의 경쾌한 날갯짓과 청개구리의 울음소리 속에 물씬하다.
뿐만 아니라 제비와 청개구리의 행동은 무정물인 버드나무 및 산과 상호 교감하고 있다.
그런데 김류의 시는 어떠한가. 그저 먼 산이 빗기운을 띠자 개구리도 그걸 보고 시끄럽게 울고,
버드나무 사이로 부는 세찬 바람에 제비의 날갯짓도 비스듬하다는 것이니,
단어와 단어 사이의 탄력은 없고 여운도 적다. 語音 면에서도 음악미가 부족하다.
강희맹이 봄날의 경치와 직접 마주하여 떠오른 흥취를 노래했다면, 김류의 시는 강희맹의 구절을 가공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그래서 이미지의 사용이 거의 같음에도 불구하고 시의 격은 크게 달라지고 말았다.
말하자면 하나는 진짜고 하나는 가짜다. 그런데 그 차이는 종이 한 장 밖에는 되지 않는다.
책/한시미학산책 <건방진방랑자 2019.08.30 13:36 >
'**(3) 중국한시교실 > ☞ 三體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사와 점화 (0) | 2019.09.25 |
---|---|
用事와 표절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