平仄易误用的字·杨维仁<평측이 오용되기 쉬운 >글자 平仄易误用的字·杨维仁 平仄易混淆的常用字: 一、场(下平七阳韵) 醉卧沙场君莫笑,古来征战几人回?(王翰:凉州词) 二、俱(上平七虞韵) 最是楚宫俱泯灭,舟人指点到今疑。(杜甫:咏怀古迹) 万籁此俱寂,惟闻钟磬音。(常建:题破山寺后禅院) 三、谊(去声) 长沙不..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9.11.11
第三章:平仄(拗與拗救) + ≪唐詩三百首≫를 중심으로(姜 聲 尉) 第三章:平仄(拗與拗救) 目次 平仄格律之主要原則 拗與拗救 特拗之例 折腰體 四聲遞用法 兼論古體詩之平仄 平仄格律之主要原則 近體詩(絕句、律詩、排律)之平仄,有其一定之規律,此種規律稱之為平仄譜。大體說來,平仄譜安排之原則有三: 一:句中之字,兩字或三字為一組..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9.11.11
【四聲(사성)】의 유래는? 【四聲(사성)】의 유래는? 중국어에는 다른 나라의 말에는 없는 ‘사성(四聲)’이라는 발음의 규칙이 있다. 글자대로 풀이하면 ‘4가지 성조(聲調 : 소리의 고르기)’라는 뜻인데, 각 각의 소리의 고르기(성조)에 따라 같은 음의 글자라도 뜻이 다르고 같은 성조에도 수많은 글자가 있게 ..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9.02.02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현대중국어 4성과 唐代의 4성) ■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 <하영섭 저, 한시작법의 정석 P.278> 위 표식은 現代중국어(북경어) 四聲과 唐代의 四聲의 비교 분석한 것인데, 현대중국어를 좀 알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이해가 가능한 도표이자 설명이 된다.. 唐代의 4성 現代중국어(북경어) 4聲調에의 이동 흡수 변동 ..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6.01.19
拗體 『 拗體 』 “漢詩의 大家만 拗體를 쓴다? 대가만이 한시의 요체를 쓸 수 있는 건가?” 拗』(요)란 무엇인가? 한시를 짓는데 있어서 句의 평측 배치방식에 4가지 기본형식이 있습니다. 즉 a식 ,b식 , A식 , B식으로 정리한 것이 중국의 왕력(‘한어시율학’의 저자)의 설이다. 모든 한시, 즉 ..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5.12.16
[ 11.문답대 ~ 15. 동류대 ] * 11. 문답대(問答對) : 질문과 대답하는 관계로 두 싯귀가 연결되는 경우이다 보기) 誰愛風流高格調 / 共憐時世儉梳&#22941; 윗 구의 내용이 질문을 이루고 아랫 구의 내용이 대답을 이룬다 . 誰愛風流高格調(수애풍류고격조) 뉘라서 격조 높은 풍류를 사랑하리 / 共憐時世儉梳&#22941;(..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5.11.10
Re: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현대중국어 4성과 唐代의 4성) ■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 [ <하영섭 저, 한시작법의 정석 P.278> 위 표식은 現代중국어(북경어) 四聲과 唐代의 四聲의 비교 분석한 것인데, 현대중국어를 좀 알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이해가 가능한 도표이자 설명이 된다.. 唐代의 4성 現代중국어(북경어) 4聲調에의 이동 흡수 변동 ..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5.11.03
[4]한시의 구성❸ [ 평측과 4형식 ] [4]한시의 구성❸ [ 평측과 4형식 ] “ 5언시는 ○○●●○(평평측측평) 아니면 ●●○○●(측측평평측)이라는 평측의 규칙을 갖고, 7언시는 ○○●●○○●(평평측측평평측) 아니면 ●●○○●●○(측측평평측측평)이라는 평측의 규칙을 갖고 있다” ‘왕력(전 북경대 교수)’의 ‘근체..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4.11.28
[3]한시의 구성❷ [ 평측과 절주 ] [3]한시의 구성❷ [ 평측과 절주 ] 앞에서 형식과 평측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평측(平仄)은 대장(對仗 )과 더불어 근체시에서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사항이다. 고체시(고시)에서도 완전히 무시할 수 는 없었다. 신시(현대시: 근체시 이후)는 근체시와 같은 일체의 제약을 벗어 던지..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4.11.28
[2]한시의 구성❶ [2]한시의 구성❶ [ 한시의 규율 ] 한시에 있어서 제일 중요시 되는 것은 평측이다. 모든 한자는 평(평성) 아니면 측(측성) 중 하나이다. 그리고 한시는 이러한 평측의 한자를 혼합해서 작시를 한다. 한시는 古詩(고체시)와 新體詩(근체시)가 있다고 했다. 당나라 시대를 기준으로 구분하기.. **(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201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