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11

平仄易误用的字·杨维仁<평측이 오용되기 쉬운 >글자

平仄易误用的字·杨维仁 平仄易混淆的常用字: 一、场(下平七阳韵) 醉卧沙场君莫笑,古来征战几人回?(王翰:凉州词) 二、俱(上平七虞韵) 最是楚宫俱泯灭,舟人指点到今疑。(杜甫:咏怀古迹) 万籁此俱寂,惟闻钟磬音。(常建:题破山寺后禅院) 三、谊(去声) 长沙不..

第三章:平仄(拗與拗救) + ≪唐詩三百首≫를 중심으로(姜 聲 尉)

第三章:平仄(拗與拗救) 目次 平仄格律之主要原則 拗與拗救 特拗之例 折腰體 四聲遞用法 兼論古體詩之平仄 平仄格律之主要原則 近體詩(絕句、律詩、排律)之平仄,有其一定之規律,此種規律稱之為平仄譜。大體說來,平仄譜安排之原則有三: 一:句中之字,兩字或三字為一組..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현대중국어 4성과 唐代의 4성)

■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 &lt;하영섭 저, 한시작법의 정석 P.278&gt; 위 표식은 現代중국어(북경어) 四聲과 唐代의 四聲의 비교 분석한 것인데, 현대중국어를 좀 알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이해가 가능한 도표이자 설명이 된다.. 唐代의 4성 現代중국어(북경어) 4聲調에의 이동 흡수 변동 ..

Re: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현대중국어 4성과 唐代의 4성)

■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 [ &lt;하영섭 저, 한시작법의 정석 P.278&gt; 위 표식은 現代중국어(북경어) 四聲과 唐代의 四聲의 비교 분석한 것인데, 현대중국어를 좀 알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이해가 가능한 도표이자 설명이 된다.. 唐代의 4성 現代중국어(북경어) 4聲調에의 이동 흡수 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