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1] .............한시야기

착한 인생 2014. 11. 28. 09:45

 

 

 

[1] 한시를 배우려면................

  

     ① 한시를 짓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시법(作詩法)을 숙지하여야 하며,

 

     ② 다음은 한시에 관한 시어(詩語)를 숙지하여야 하며, 시어자체의 개념은 짓기는 어려우나 우선 <당시300><唐詩選>을 많이 읽음으로서 해결이 가능하다.

 

     ③ 작시를 작법에 의하여 많이 지어보고 선학들의 첨삭지도를 받는 것이 실체적 습득과정이 다. 그렇게 경험이 누적되면 10년 안에 자연히 혼자 작시할 수 있다.

 

     ④ 작시 구성방법에서는 나라 사람 周弼이 지은 <三體詩>를 숙독하는 것이 긴요하며, 이것은 5언 율시와 7언 절구, 7언 율시 3가지 구성방법으로 구성이론과 예제가 있어 큰 도움이 되나, 국내에서는 구할 수 없다.

 

      ⑤ 작시의 궁리를 한 곳에 공들이기 위해서는 소위 <三上>이라 하여 [ 枕上 ], [廁上 ], [ 馬上 ]에 있다하니(大漢和辭典 卷1. p 148) 섬광처럼 지나는 靈感에서 名句가 얻어질 수 있으니 즉시 메모하는 습관을 가질 것을 권한다.      .......... 발췌 <2014.11.4. 孤松>

 

 

 

[1]한시


    漢詩는 한자로 이루어진 시이고, 한시에는 古體詩(고체시)近體詩(근체시)로 크게 보면 된다.

    고체시는 古詩(고시)라고, 근체시는 今體詩(금체시)라고도 달리 불리는데고체시는 신체시가 생기기 시작한 中國 唐나라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중국시를 고체시라 말하고 당나라시기부터는 신체시라 쉽게 이해하면 된다. 이 구분은 신체시가 생기기 시작한 시대가 당나라 초기이기 때문이다그렇다고 당나라 이후부터는 고체시(고시)가 전혀 없었느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왜냐하면 당나라 시기 이후에도 고체시를 짓는 시인이 있기도 했다. 허나 전적으로 신체시가 대다수이고 고체시는 별로 많지를 않기 때문에 기준을 당나라로 한 것이다.


    또 다른 구분방법은 평측과 압운의 차이점으로 고체시와 신체시를 구분한다.

  

    이제 개념적으로 논한다면   한시는 여러 가지 엄격한 규율을 지닌 시이며 한 시의 엄격한 규율이 완성된 시기는 당나라 때이다. 이에 따라 한시의 엄격한 규율을 지키고 당나라 이후에 지어진 시를 근체시(近體詩)라하고 당나라 이전에 지어졌거나 한시의 엄격한 규율을 지키지 않은 시는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1. 古體詩 (고체시) : 나라 이전에 쓰여진 시로 형식이 자유롭다. 시경체, 초사체, 악부체, 고시체 등 의 갈래종이 있다. 아래 2.근체시의 규칙이 없다. 한마디로 시로서의 형식이 엄격하지 않다는 점이다.

 

     2. 近體詩 (근체시) : 나라 이후에 쓰여진 시로 형식이 엄격하다. 근체시는 절구(絶句), 율시(律詩), 배율(排律)로 나뉜다.

         1) 絶句(절구) - 4(, , , )으로 이루어짐

            ① 五言絶句 (5언절구) : 한 구()5글자로 이루어짐.

            ② 七言絶句 (7언절구) : 한 구()7글자로 이루어짐.

  

        2) 律詩(율시) - 8(두련, 함련, 경련, 미련)으로 이루어짐

           ① 五言律詩 (5언율시) : 한 연()은 두 구()로 이루어지며 한 구()5글자.

           ② 七言律詩 (7언율시) : 한 연()은 두 구()로 이루어지면 한 구()7글자


        3) 排律(배율) - 행의 수에 제한이 없음. 10()이상으로 이루어진 시.

           ① 五言排律 : 한 구()5글자로 지음.

           ② 七言排律 : 한 구()7글자로 지음.


     3. 압운(押韻) : 시의 한행의 끝자리에 같은 음운에 속하는 글자를 쓰는 것. 운자(韻字)라고 함.

          ① 5언절구 : 2, 4 ()에 운자가 있음.

         ② 7언절구 : 1, 2, 4 ()에 운자가 있음.

         ③ 5언율시 : 2, 4, 6, 8 ()에 운자가 있음.

         ④ 7언율시 : 1, 2, 4, 6, 8 ()에 운자가 있음.

        ⑤ 배율 : 행의 수에 제한이 없어 운자를 쓸 수가 없다

 

    4. 대구법(對句法) : 한시에서 두 구()가 상대(相對)되거나 상응(相應)되게 표현하는 구성법.

     *대구(對句) 파악 요령

        글자 수가 같다.

        ② 문장성분의 배열이 거의 일치한다.

       ③ 문장의 해석 순서가 거의 일치한다.

         - 절구(絶句) ; 기구(起句)와 승구(承句) 또는 전구(轉句)와 결구(結句)가 대()를 이룬다.

        - 율시(律詩) ; 함련(3구와 4)이나 경련(5구와 6)가 대()를 이룬다.


    5. 대구의 효과 : 시적(詩的)인 운률(韻律)감을 획득하며 의미를 강조한다.

    6. 한시 읽는법 :

       - 오언시는 2 / 3 자로 읽고,

       - 칠언시는 4 / 3 자로 읽는다.

 

       .<2014.11.5. 孤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