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시이론교실/ ☞ 한시 이론

漢字의 四聲, 平仄의 대응표(현대중국어 4성과 唐代의 4성)

착한 인생 2016. 1. 19. 02:57


漢字四聲, 平仄의 대응표

    

<하영섭 저, 한시작법의 정석 P.278>

위 표식은 現代중국어(북경어) 四聲唐代四聲의 비교 분석한 것인데, 현대중국어를 좀 알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이해가 가능한 도표이자 설명이 된다..

唐代4

現代중국어(북경어) 4聲調에의 이동 흡수 변동

비 고

平聲 ()

1 ( ˉ ), 2 ( ˊ )

괄호( ) 표시는 이동로가 비교적 적은 편임.

上聲 ()

3 ( ˇ ), (4 )( ˋ )

去聲 ()

4 ( ˋ )

入聲 ()

(1 )( ˉ )/ 2 ( ˊ ) /3 ( ˇ ) / 4 ( ˋ )

 

漢韓 가정대옥편 범례 (계몽사출판)

평측(唐代4)

現代 중국어(북경어) 로의 이동 흡수변경

평성 (평성)

고저가 없이 평평한 소리(平讀)

陽平

1( ˉ )

입성 (측성)

끝을 빨리 닫는 소리(急讀)

陽平, 陰平

上聲, 去聲

1( ˉ ), 2( ˊ )

3( ˇ ), 4( ˋ )

상성 (측성)

屈曲없이 끝을 올리는 소리(高讀)

上聲

3( ˇ )

거성 (측성)

처음은 강하게, 끝은 약하게(重讀)

去聲

4( ˋ )

 

위의 도표에서 유추 분석해볼 수 있는 사항은

 

-- 上聲 去聲(모두 측성)은 모두 북경어(현대중국어) 聲調(1~4)34에 흡수되었으므로 3성과 제 4성 또한 모두 측성()으로 보면 된다.

 

-- 平聲(평성 ) 1과 제 2으로 흡수되었으므로 1성과 제 2성을 모두 평성으로 보면 된다.

 

-- 入聲(측성 )4개의 성조에 분산되어 흡수가 되었다. 3성과 제4성에 흡수된 입성은 별 문제없이 측성으로 보면 되지만, 문제는 평성인 제1성과 제2성에 흡수된 입성이 문제이다. 그러나 그건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다. 현대 중국어의 제 1성과 제 2성으로 발음되는 한자 중 한글로 독음이『 ㄹ, ,ㄱ 』 받침으로 발음이 되는 한자(아래 예시 참조)는 모두가 <입성>으로 간주되어 측성으로 보고, 나머지는 평성으로 보면 무난하다. 그러니까 入聲의 구별은 어느 성조에 포함되었던 간에 한글독음이 『 ㄹ, ,ㄱ 』 받침으로 발음이 되는 한자로 보면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중국인들은 입성을 자전을 찾지 않고서는 구별할 수가 없다고 한다. 한글독음을 모르니.

 

-- 하지만 현대중국어 성조와 唐代 4성의 변동관계의 결과를 100% 믿으면 아니 된다. < 경험상 99% 정도 되지 않을까 추론해본다. 1%이더라도 50,000여 한자 중 500가 되는 셈이다. 많다는 뜻이다.>

 

(숫자의 예)

(yī), (èr), (sān), (sì), (wǔ), (liù), (qī), (bā́), (jiǔ), (shí), (bǎi), (qiān). (wàn), (yì)

(平聲 )이고 나머지 숫자 모두 (仄聲 )입니다.

[ 분석 ]

( ), ( liù 四聲 ), ( 一聲 ), ( bā 一聲 ), ( shí 二聲 ), ( bǎi 三聲 ), ( 四聲 )은 중국어 성조 1, 2, 3, 4성 중 하나이지만. 일단 성조를 떠나서 <, , > 받침이 있는 한자이다. <상성, 거성, 입성>은 모두가 높은 음, <, , > 받침이 있는 입성은 모두가 [ 仄聲 ] 임을 알 수 있다.

(èr=4), (sì =4), (wǔ =3), (liu =4), (jiǔ =3), (wàn =4)3성 내지 4성이므로 위의 표식도의 설명에 따르면 모두가 <仄聲 >이다.

(sān = 1), (qiān =1)은 모두 1성으로 평성 조건으로 성립되고, 입성조건인 <, , > 받침이 있는 한자음이 아니므로 <平聲 >임을 알 수 있다.

 

(한시의 예)

(lóu) (shàng) (fèng) (huáng) (fēi) (qù) (hòu) 누대위의 봉황이 날아간 후

(누상봉황비거후) ○ ● ● ○ ○ ● ●

(bái) (yún) (hóng) (yè) (shǔ̌) (shān ) (jī) 흰 구름과 붉은 잎은 산닭의 것이 되었다.

(백운홍엽속산계) ● ○ ○ ● ● ○ ○

<王建九仙公主舊莊>의 일부이다.

위 표식도에서 설명한 대로 성조와 평측이 맞아 떨어진다.

 

(kàn, kān)이라는 글자와 같이 한 개의 ()을 갖으면서 평성, 측성 2가지를 겸하는 한자로써 평측 어느 것을 사용해도 관계치 않는 글자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면, 중국어성조로도 평측 구분은 별 어려움이 없으리라 판단된다. <>

                                                                                                                                                                                                            

 

                                                                                                                           <2012.11.05. 孤松 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