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중국한시교실/ ---古詩(5언악부)

(039)子夜四時歌::春歌(자야사시가:춘가) -(李白이백) : 5언 악부

착한 인생 2019. 9. 16. 13:34

 

 

(039)子夜四時歌::春歌(자야사시가춘가) -(李白이백) : 5언 악부

  

 

               秦地羅敷女[진지라부녀] 진땅의 나부라는 여인

               採桑綠水邊[채상록수변] 푸른 물가에서 뽕잎을 따네.

               素手青條上[소수청조상] 하얀 손은 푸른 가지 위에 있고

               紅妝白日鮮[홍장백일선] 붉게 단장한 얼굴 밝은 햇살 속에 곱다.

               蠶飢妾欲去[잠기첩욕거] 누에가 배고파 저는 가려하니

               五馬莫留連[오마막류련] 태수께서는 저를 붙들지 마세요.

 

[註釋]

 

子夜吳歌[자야오가] 六朝시대 江南 吳지방의 民歌로서 東晋 子夜라는 여자가 처음 읊어 <子夜曲>이라 이름 지어졌으며 樂府淸商曲辭에 해당함.

羅敷[라부] 나라 樂府<陌上桑>羅敷라는 여인이 나오는데, 나중에는 젊은 여자를 지칭하는데 쓰여 졌다.

青條{청조} 뽕나무 가지

五馬[오마] 태수를 의미한다. 고대 태수의 수레를 말 다섯 마리(五馬)가 끌었으므로 붙여진 명칭이다. <陌上桑>使君從南來 五馬立踟躕(사또께서 남쪽에서 오셨는데 다섯 말이 머뭇거리네)‘라고 하였다.

留連[류련] 머물러 가지 못하게 말을 걸거나 멈추게 함.

 

[通譯]

     섬서성에 나부라 불리는 한 여인이 있어, 녹수가에서 뽕잎을 따고 있다.눈과 같이 흰 손은 뽕나무의 푸르고 부드러운 가지 위에서 더욱 도드라지고, 붉게 단장한 얼굴운 밝은 햇살속에 더욱 아름답게 빛난다.

여인은 말한다. “지금 누에가 배가 고플 것이니, 저는 이제 돌아가야 합니다. 태수께서는 더 이상 제 옆을 배회하지 마세요.”

 

[解題 作法分析]

     子夜歌六朝시대 江南 吳지방의 民歌로서 吳歌一種에 속하였다. 東晋 子夜라는 여자가 처음 읊어 <子夜曲>이라 이름 지어졌으며, 이 때문에 子夜를 써서 歌名을 삼았다. 그 후에 이러한 .의 노래가 매우 유행하였는데, 이에 四季節演唱한 것이 子夜四時歌라고 불리었으며, 大子夜歌‘, 子夜警歌’,‘子夜變歌’, 變曲이 있다. 唐人 吳競樂府古題要解舊史에 말하기를 나라에 子夜라는 여자가 잇어 지은 것인데 소리가 지극히 슬프다. 晉 武帝 太原中瑯琊王(낭야왕)의 집에 귀신이 있어 이를 노래했다. 후인들이 四時行樂之祠에 의거하여 이를 일러 子夜四時歌라고 하는데 오나라 소리이다,”고 하였다.

<子夜春歌>는 한 여자가 봄날에 뽕을 따서 누에를 먹임을 썼는데 한가닥 생기가 우쩍 일어나는 모습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일에 대한 하나의 유쾌한 감정을 가지게 한다. 가운데 綠水,素手,青條,紅妝,白日 등의 말은 색이 매우 아름다움을 말하였는데, 摹狀格을 써서 修辭하였다. 末聯太守에게 권하여 美色을 탐하지 말라는 것은 시인의 諷諭하고 告誡하는 뜻이 있어 溫柔하고 敦厚해야 하는 시의 本色을 잃지 않았다.

 

[韻律]

     이는 六句律詩이다. 三四句對仗이고 앞뒤로 모두 散體를 썼다. 다만 第二句 采桑綠水邊孤平을 범하여 에 맞지 않는다. 全詩下平聲 一韻을 사용하여 韻脚··세 자이다.

 

[全唐詩]

165_27 子夜吳歌春歌一作子夜四時歌)》李白

秦地羅敷女采桑綠水邊素手青條上紅妝白日鮮蠶饑妾欲去五馬莫留連

 

 

봄 노래

 

나라 땅

젊은 처녀

푸른 물가에서

뽕잎 따네.

 

하얀 손

푸른 가지에 얹고

빨갛게 차려입은 옷

밝은 해에 고와라.

 

누에는 배고파

저는 가야 하오니

태수님

제발 배회하지 마세요

 

[平仄]

秦地羅敷女(진지라부녀)○●○○●(平去平平上) qín luó fū nǔ,

采桑綠水邊(채상록수변)●○●●◎(上平入上平) cǎi sāng ̀ shuǐ biān

素手青條上(소수청조상)●●○○●(去上平平去) sù shǒu qīng tiáo shàng

紅妝白日鮮(홍장백일선)○○●●◎(平平入入平) hóng zhuāng bái xiān

蠶饑妾欲去(잠기첩욕거)○○●●●(平平入入去) cán qiè yù qù,

五馬莫留連(오마막류련)●●●○◎(上上入平平) wǔ mǎ mò liú lián

 

[直譯 文章構造]

(:

(:)

(:)

:)

(:주어)

나라 진

땅 지

벌릴 라

펼 부

계집 여

秦地羅敷女(진지라부녀) 진나라 땅의 나부라는 여자가

(:술어)

(:목적어)

(:)

(:)

(:보어)

캘 채

뽕나무 상

푸를 녹

물 수

가 변

採桑綠水邊(채상록수변) 녹수가에서 뽕나무 잎을 따고 있네.

(:)

(:주어)

(:)

(:)

(보어)

흴 소

손 수

푸를 청

가지 조

위 상

素手青條上(소수청조상) 흰 손은 푸른 가지 위에

(:)

(:주어)

(:)

(:)

(:술어)

붉을 홍

황장 장

흰 백

날 일

고을 선

紅妝白日鮮(홍장백일선) 붉은 화장은 흰 햇살에 곱네.

紅妝 [红妆 hóngzhuāng] 여성의 아름다운 옷차림 젊은 여성 여성의 성장(盛裝)

(:주어)

(:술어)

(:주어)

(:술어)

(:술어)

누에 잠

주릴 기

첩 첩

하고자할 욕

갈 거

蠶飢妾欲去(잠기첩욕거) 누에가 배 고프니, 첩은가려 하니

欲去(동사+동사) : 이중동사 하려하다 +가다

(:)

(;주어)

(:)

(:술어)

(:)

다섯 오

말 마

말 막

머물 류

이을 련

五馬莫留連(오마막류련) 五馬는 머물러 계속 있지 말라.

五馬[오마] 고대 태수의 수레를 말 다섯 마리(五馬)가 끌었으므로 붙여진 명칭

留連 [留连 liúlián](헤어지기가 섭섭해) 계속 머무르다

秦地羅敷女(진지라부녀) 진나라 땅 젊은 처녀

採桑綠水邊(채상록수변) 푸른 물가에서 뽕을 따네

素手青條上(소수청조상) 하얀 손 푸른 가지에 얹히고

紅妝白日鮮(홍장백일선) 빨갛게 차려 입은 옷 밝은 해에 곱구나

蠶飢妾欲去(잠기첩욕거) 누에는 배고파 저는 가야 하오니

五馬莫留連(오마막류련) 태수님 제발 배회하지 마세요

 

참고 도서

古文眞寶詩篇<육문사, 朴一峰 역저 2001>,

唐詩三百首詳析<대만 : 中華書局 편집부, 1955>,

唐詩三百首詳析<북경 : 中華書局 喩守眞 편저, 2008>,

唐詩三百首<傳統文化硏究會 송재소 외 5인 역주, 2012>,

唐詩三百首<啓明大學 出版部 구섭우 편저, 安秉烈 譯,2005>,

唐詩三百首<동서문화사 林東錫, 孫洙編 釋註 2010>,

[사진출처][당시삼백수]子夜四時歌::春歌(자야사시가춘가) -(李白이백)-이백(李白)작성자swings81

                                                                                                            <2016. 07. 25 孤松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