佳人(가인) - 아름다운 사람 - 杜甫(두보)
絕代有佳人(절대유가인) 절세의 미인이 있건만,
幽居在空谷(유거재공곡) 빈 골짜기에 숨어 산다네.
自云良家子(자운양가자) 원래는 벼슬 높은 양갓집 딸이었는데,
零落依草木(영락의초목) 집안이 몰락하여 의지할 곳도 없게 되었죠.
關中昔喪亂(관중석상란) 옛날 장안 땅이 전란에 짓밟힐 때에 ,
兄弟遭殺戮(형제조살륙) 형제들은 모두 변을 당했다네.
官高何足論(관고하족론) 벼슬이 높았음을 말해 무엇 하리오,
不得收骨肉(부득수골육): 육친의 골육조차 거두지 못했음을.
世情惡衰歇(세정오쇠헐) 가세가 기울면 등 돌리는 게 세상인심이요
萬事隨轉燭(만사수전촉) 세상만사가 바람 따라 흔들리는 촛불이라네.
夫婿輕薄兒(부서경박아) 남편은 또한 경박한 사람이고 보니
新人美如玉(신인미여옥) 옥같이 예쁜 첩을 새로 얻었다네.
合昏尚知時(합혼상지시) 합혼초는 때를 알아 짝을 짓고
鴛鴦不獨宿(원앙부독숙) 원앙새는 홀로 자지 않거늘
但見新人笑(단견신인소) 새 첩의 웃는 낯만 쳐다볼 뿐
那聞舊人哭(나문구인곡) 어찌 조강지처의 통곡소리가 들리겠는가?
在山泉水清(재산천수청) 샘물은 산에 있어야 맑지.
出山泉水濁(출산천수탁) 산을 나선 샘물은 탁해진다네.
侍婢賣珠回(시비매주회) 하녀가 구슬 팔고 돌아와서는
牽蘿補茅屋(견라보모옥) 담쟁이덩굴을 끌어 초가집을 수리하네.
摘花不插髮(적화불삽발) 꺽은 꽃을 머리에 꽂지 않으며,
采柏動盈掬(채백동영국) 측백잎을 뜯어 가득히 움켜쥐고 있네.
天寒翠袖薄(천한취수박) 날씨는 차고 푸른 소매는 얇은데,
日暮倚修竹(일모의수죽) 노을에 비낀 대나무에 기대어 서있네.
그대는
절세의 미인인데
산골짜기에 숨어 산다.
그대는 말한다.
“저는 양가의 여자인데,
불행을 만나 신세가 영락해
다만 수풀 속에 몸을 의탁하고 있어요.
지난 번 관중일대가 병란을 만나,
제 형제들이 모두 피살당했으니
벼슬이 높은 집안이라 한들 또 어찌할 수 있었겠어요.
변고를 만나 골육들조차 수습해 묻을 방도가 없었지요.
人情이란
대체로 쇠퇴해 무너지는 것을 싫어하고 ,
세상사 변화가 많은 것은
바람 따라 흔들리는 촛불과 같아요.
제 집안의
경박한 남편은
새 여자를 데려와
저를 버렸답니다.
합환화도
저녁이 되면
꽃잎을 우므려 합칠 줄 알고,
원앙도
짝을 이루면
혼자 자지 않는데
남편은
새 여자가 웃고
기뻐하는 걸 보고만 있으니
어떻게
제가
울고 있는 것을 듣겠어요?”
샘물은
산에 있어야
맑지
산을 나가면
혼탁해져 버리니,
생활을 위해서
여종은 주옥을 전당잡히고
간혹
초가집이 무너지면
푸른 넝쿨을 가져와 고친다.
그대
다시는
꽃 꺾어 머리에 꽂지 못하고
항상
측백나무 이파리만 가득 따온다.
날씨가 차
푸른 옷은 홑겹이라 얇아서
추울 텐데
해지는 황혼녘
긴 대나무에
기대어 있으니
그대의
곧고 굳은 절개를 알겠다.
이 시는 《杜少陵集두소릉집》 卷七권칠에 실려 있다. ‘佳人’은 아름다운 사람,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婦人을 가리키지만, 자신이 흠모하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군주, 정인, 친구 등 남자를 가리킬 때도 있다.
本書본서 注주에 ‘ 본서에 “天寒翠袖薄[천한취수박]”이라 한 것은, 세상이 어지러워 군자가 군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가리킨다. 栢백과 竹죽은 겨울이 되어도 志操지조를 바꾸지 않는다. ’采栢채백 ‘과 ’依脩竹의수죽‘ 함은, 멀리 나라의 앞일을 걱정하기 때문이다. 군자는 君군으로부터 버림받아도 지조를 지키는 것과 같다. 이는 忠臣충신이 貞婦정부에 비유되는 所以소이이다.’라고 한 것처럼, 本篇본편을, 쫓겨난 賢臣현신이 君군에 대한 충심을 잃지 않았는데도, 신진의 덕없는 젊은이들이 君군의 총애를 받는 것을 풍간한 것으로 해석하는 예가 많은데, 꼭 그렇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본편은, 군자나 현신을 仕人사인에 비유하여 그릇된 정치를 이야기한 게 아니라, 현실의 아름다운 여인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 시는 숙종 건원 2년(759) 가을, 두보가 관직을 버리고 秦州진주로 피난 갔을 때 아름다운 여인을 보고 지은 작품일 것이다. 두보는 전란에 휩쓸려 떠도는 사람들의 사회현실을 형상한 작품을 많이 썼는데, 이 시처럼 여성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은 드물다.
중국 고전문학에 새겨진 인물 가운데 독특하고 선명한 여성 형상이 그려진 시로 평가받고 있다. 여인의 처지에 시인 자신의 모습을 빗대었으니 이를 통해 시인의 감개와 의지를 아울러 읽을 수 있다.
전시는 6단으로 나누어진다. 佳人가인인 전란을 만나고, 남편이 정숙치 못한데도 능히 굳고 곧아 스스로 지킴을 서술하였다. 앞 4句는 가인이 불행을 만나 空山에 幽居하며 몸을 초목에다 맡김을 썼고, 關中으로부터의 4句는 佳人의 친정이 참혹한 변고를 만남을 서술하였다. 世情세정으로부터의 4句는 세사의 변고가 많고 인심은 헤아리기 어려우며 가인의 남편은 경박하여 그녀의 친정의 몰락함을 보고는 그녀를 버리고 새로운 여인을 취하여 장가감을 기술하였다. 合昏합혼부터의 4句는 새 여인은 기뻐하는데 옛 사람은 운다는 것과, 짐승은 오히려 서로 의지할 줄 아는데 사람은 오히려 옛 사람을 버리고 새 사람을 맞는다는 것을 서술하였으며, 在山재산으로부터의 4句는 샘물이 산에 있음으로써 가인의 정결함을 비유하고 구슬을 팔고 집을 수리함으로 가인이 능히 안빈낙도함을 나타내고 있다. 말 4句는 가인이 버림을 받아도 능히 정결함이 言外언외에 넘쳐흐름을 썼다.
' **(1) 한시이론교실 > ☞ 한시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歸雁 (귀안) 북으로 날아가는 기러기 -전기(錢起) (0) | 2018.12.17 |
---|---|
夢李白二首之二(몽리백이수지이) 꿈에서 이백을 만나다 (2수) -두보(杜甫) (0) | 2018.12.17 |
月下独酌(월하독작) - 달밤에 혼자 술을 마시다.-이백( 李白) (0) | 2018.12.17 |
次兒輩韻還示(·차아배운환시) 아이들에게 - 홍인모(洪仁謨·1755~1812) (0) | 2018.12.17 |
早寒江上有懷(조한강상유회) 새벽 추운 날 강가에서- 맹호연 (孟浩然) (0) | 2018.12.17 |